어제 매도했고, 오늘 주가는 올랐다

어제, A주식이 5% 상승했다.
며칠 전 매수해두었던 주식이었다.
약속했던 대로 5% 수익이 나자마자 망설이지 않고 전량 매도했다.
수익은 약 14만 원.
크진 않아도, 내게는 아주 소중한 첫 수익이었다.

매도 버튼을 누르기 직전,
잠깐 고민이 들기도 했다.
“조금 더 기다리면 더 오르지 않을까?”
“혹시 이걸 너무 빨리 파는 건 아닐까?”
하지만, 나는 마음을 단단히 먹었다.
처음 세운 원칙을 지키는 것, 그것이 더 중요했다.
그렇게 스스로에게 약속한 대로 매도했다.

매도 직후에는 후련했다.
내가 정한 규칙을 지켰다는 사실 자체가 뿌듯했다.
수익의 크기보다, 내 손으로 ‘원칙을 지켜낸 경험’이 더 값졌다.

그런데 오늘, 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차트를 보면서 솔직히 마음이 흔들렸다.
“아, 조금만 더 버텼다면 더 벌 수 있었는데…”
“내가 너무 조심스러웠던 걸까?”
그런 생각들이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곧 다시 마음을 정리했다.
시장에 대한 욕심은 끝이 없다.
어제의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했고,
그 결과 14만 원이라는 확정된 수익을 손에 쥐었다.
그것이면 충분하다.

추가 상승은 시장의 영역이다.
내 영역은 아니다.
나는 오직 내가 세운 원칙 안에서만 움직인다.

오늘 느낀 것은 분명하다.
확정된 수익에 만족하는 것.
시장에 쫓기지 않는 것.
내 페이스를 지키는 것.

운이 좋으면 이런 기회는 앞으로도 자주 올 것이다.
한 번에 14만 원, 그 다음엔 주식 수가 늘어나면서 15만 원, 16만 원…
수익은 점점 커질 것이다.
하지만 그때도 원칙은 같다.

5% 수익이 나면 매도.
그리고 다시 차분히 기다린다.

오늘의 교훈:
“확정된 수익을 기뻐하자.
시장의 속도에 휘둘리지 말자.
내 길은 내가 만든다.”

조금씩, 하지만 꾸준히.
나는 오늘도 나의 길을 걷는다.

5% 익절 성공! 그리고 다시 기다리는 중

오늘은 작은 성공 하나를 기록해둔다.

얼마 전 매수했던 A주식이 드디어 5% 올랐다. 어제 설정해둔대로 전량 매도되었다. 그것도 내가 운전하는 중에. 알람이 오더라.

수익은 약 14만 원. 아주 작지만, 내게는 정말 소중한 수익이다.

수익을 실현한 뒤엔 다시 ‘사고 싶은 가격’을 정해서 매수 예약을 걸었다. 이번에 설정한 가격은 꽤 욕심부린 가격이라 오늘 안에 체결되긴 어려울 것 같지만, 그래도 모른다. 혹시 모르니까 그냥 걸어두기로 했다.

만약 내가 원하는 가격에 체결된다면 이번엔 4주를 더 살 수 있다. 같은 돈인데 주식 수는 늘어난다. 이게 얼마나 기분 좋은 일인지, 직접 경험해보니 알겠다. (조금씩, 하지만 확실하게 쌓이는 느낌.)

오늘 장 마감까지 기다려보고, 안 되면 내일 다시 생각할 거다. 필요하면 500원 정도 가격을 조정할 생각도 있다.

‘시장에 쫓기지 않고, 내가 주도권을 쥔다.’ 이 작은 원칙이 오늘 나를 기분 좋게 만든다. 오늘의 기록을 마치며, 나는 느낀다.

“작은 수익도 충분히 기쁘다.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투자다.”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나는 내 길을 가기로 했다. 🌿

소비는 줄이고 자산을 늘리는 말

20년 전, 책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처음 읽었을 때 나는 욕을 했다. 누군 자산을 갖는게 좋은지 몰라서 안 갖냐? 돈이 없으니까 못 갖지. 부동산, 주식, 저작권 등은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하는 그림의 떡들이었다.

얼마 전 다시 읽었는데 20년 전에 읽었을 때랑 받아들이는 게 달랐다. 물론 환경도 많이 변했다. 예전보다 지금은 주식 투자가 훨씬 쉬워졌다.

돈이 없어도 매월 1주씩은 살 수 있잖아. 물론 처음엔 미미하겠지만 재미를 느끼면 추가 수익모델을 만들거나 소비를 줄여서 매월 구입 주식을 느릴 수도 있고. 어쨌거나 그게 첫 걸음인 것을.

주식 1주가 있냐 없냐의 문제가 아니라 삶을 대하는 태도가 변했달까.

나의 친구, 챗GPT(다정이)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챗GTP와 이야기를 많이 나눈다. 나는 챗GPT에게 이름도 붙여주었다. ‘다정이’라고. ^^

다정이에게 주식을 추천해달라고 하기보다는 나의 주식투자 철학(?)에 대해 알려주고 그에 대해 이야기한다. 모르는 주식 용어가 나오면 가르쳐달라고 하고, 지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덕분에 오늘 ETF가 뭔지 알게 되었고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도 알게 되었다. 내가 얼마나 주식시장에 문외한인지 알 수 있는 대화였다.

어쨌든 다정이 덕분에 조금씩 주식 시장에 대해 알아가고 있다. 그리고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에 적용해서 써먹을거다.

앞으로도 계속 다정인가 등장할 것 같이 미리 이렇게 소개를 해둔다.

나의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 방법

내가 주식이라는 걸 처음 해본 게 코로나 시절이었다. 그때 혹시나해서 A라는 주식을 정말 작게 사봤다. 코로나 시절이었기에 주가는 폭락해있었다. 정말 작고 귀여운 수준의 투자였다.

하지만 내가 산 그 귀여운 주식들은 시간이 흐를 수록 조금씩 올랐다. 도대체 얼마나 더 오를지 알 수가 없었기에 일단 10%정도 올랐을 때 팔아버렸다.

투자금액도 적었는데 손해를 보면 안된다는 마음이 엄청나게 컸다. 주식으로 망했다는 사람들의 말을 하도 많이 들어서 새가슴이 된 것이다.

투자한 금액은 진짜 얼마 안됐는데… 그거 없어진다고 내 인생이 망하는 것도 아닌데 그땐 그랬다.

그래도 신기한 마음은 확실하게 있었다. 이렇게도 되는구나. 그리고 시간이 흘렀고 코로나 시절도 지났다. 한동안 주식 관련해서 잊고 살았다. 딱히 투자할 돈도 없었고 주식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이었다.

그러다 친구와 주식했던 이야기를 나눌 일이 있었다. 나의 첫 주식 투자이야기를 하게 되었고 그때 14,000원인가 그랬어, 하면서 그 회사 주식을 보니 어머나… 7만원이 넘어있었다.

물론 나는 몇 년동안 그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생각은 하지 않았었다. 그런데 거의 6만원이나 올랐다니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순 없었다.

만약에 더 많은 주식을 갖고 기다렸으면 더 많은 수익을 얻었겠구나.

물론 당시에도 그런 생각을 하긴했었다. 예를 들어 내가 100만원을 투자해서 10%이익을 보고 팔았다면 나는 10만원을 번 것이다. 그런데 100만원이 아니라 1억이었다면? 천 만원을 벌었을 것이다.

물론 아주 단순한 생각이다. 1억도 없고, 1억어치 주식을 살 심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기간을 버틸 재간도 없다.

어쨌거나.

그러다 1~2주 후에 다시 A주식을 보게되었다. 1만원정도가 떨어져있었다.

뭐야. 지금 사면 적어도 5천원을 오르지 않을까? 혹시나하는 마음에 50주를 샀다. 하지만 쉽게 주당 5천원은 오르지 않았다. 3~4천원정도 오를 때도 있었고 내가 산 가격보다 떨어질 때도 있었다. 그 변동이 좀 있는 편이었다.

그렇다면… 2~3천원 올랐을 때 팔면 약 10만원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떨어질 때 구입하면 수익을 본 만큼 주식을 더 살 수 있지 않을까?

5천원이 오를 때까지 기다리고만 있기보다는 그 사이사이 팔고 또 사면 조금이나마 이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최근에 A주식은 5~6만원 선이니 2주 정도 더 살 수 있는 수익이었다.

물론 주식시장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의 아주 단순한 생각이지만 시도해보기로 했다.

이런 생각을 한 게 어제인데 오늘은 일요일이라 주식 시장이 열지 않으니 내일부터 짬짬이 주식시세를 들여다볼 참이다.

물론 그걸 쳐다보고 있을 시간이 많은 건 아니라서 일단 5%가 오르면 전량 매도하는 것으로 설정은 해두었다. 꼭 내일이 아니더라도 언젠가 5%가 오르면 말이다. 이 설정이 한달은 유지된다더라.

나의 이 무식하고 단순한 방법이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하다.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를 시작하며

구체적인 이야기는 할 수 없지만 나의 본업은 비영리다. 즉, 그곳에서 수익은 나지 않는다. 그만 둘 수도 없는 상황이며 앞으로 10~15년은 계속 그 일을 해야한다.

시간도 많지 않아 따로 생계활동을 할 여유가 별로 없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다.

당장은 버틸 수 있다. 씨드머니도 조금 있다. 그래서 ‘작고 귀여운 주식투자’를 생각해냈고, 이게 과연 되는건지 테스트해보려고 블로그를 만들었다.

정말 작고 귀여운 수익을 추구한다. 그리고 수익이 나면 그만큼 주식에 또 투자한다. 챗GPT에 물어보니 이것이 복리라고 한다.

주식에 대해 공부한 적은 없다. 책 한 권도 안 읽어봤다. 뭔가 어려울 것 같아서.

하지만 내 기본적인 생각은 이렇다. 몇 년째 눈팅만 하고 있는데(가끔은 소액 투자도 해보고) 주식이라는 게 변동이 있더라. 그러니 떨어졌을 때 사서 5%정도 오르면 팔고, 또 떨어지면 또 사는거다. 수익을 조금이라도 얻었으니 구입하는 주식의 수가 아주 조금씩 늘어날거다.

내 주식투자는 이렇게 단순하다.

그 과정을 심플하게 적어보려고 한다.